초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매년 혈액투석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기저질환으로 인한 혈액투석 환자의 중증도 증가, 혈액투석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로 임상에서는 더욱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2019년 병원투석간호사회에서는 혈액투석간호사의 전 문성을 향상시키고 역량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혈액투석간호사의 관점에서 필요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침서 개발팀을 구성하여 실제 임상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혈 액투석 지침서를 개발하여 초판을 발행하였습니다.
본 지침서는 혈액투석간호사들이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는 포켓북 형태로 개 발되어 그동안 임상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중심의 지침서로 활용되었습니다. 혈액투 석실 신규간호사부터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간호사까지 활용할 수 있는 지침 서로서 혈액투석에 관한 과정을 찾아보기 쉽고 임상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 는 내용과 순서로 개정하였습니다.
개정판을 출간하게 됨에 따라 임상현장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전문적인 간호를 위 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지침서 개발을 위해 수고해 주신 정은주, 이경미, 이윤실, 임아름 선생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바쁘신 와중에도 검토하고 유익한 조언을 해 주신 김문실 교 수님, 이창숙 선생님, 본 지침서가 개정 출판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메디컬팩토리에 도 감사드립니다.
투석간호의 질 향상, 전문성을 위한 역량강화, 안전한 투석실을 위해 최선을 다하 는 병원투석간호사회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장 혈액투석의 원리와 종류
2장 투석기
3장 투석액
4장 혈액투석 용수
5장 항응고요법
6장 혈관통로
7장 혈액투석 과정과 적절한 치료
8장 투석 중 응급상황 관리
9장 빈혈 관리
10장 칼슘-인 대사질환 관리
11장 고칼륨혈증 관리
12장 혈액투석 환자의 투약
13장 알람 종류별 발생 원인과 해결법
14장 특수상황 시의 혈액투석
15장 투석실 감염관리
16장 투석실 안전관리
저자
이경미(삼성서울병원 인공신장실 간호사)
이윤실(세브란스병원 인공신장실 간호사)
임아름(서울성모병원 인공신장실 간호사)
정은주(강남세브란스병원 인공신장실 파트장)
편집
김미영(이대서울병원 인공신장실 파트장)
김은이(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인공신장실 파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