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 아카데미 > 의학

회사소개 강의용 견본신청 도서주문 출간문의 고객센터

쇼핑몰 검색

전해질 아카데미 > 의학
NEW

전해질 아카데미 요약정보 및 구매

리뷰0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장재희 역
판형 상품페이지 참고
제본 상품페이지 참고
페이지 200p
ISBN 979-11-93883-80-8
발행일 2025년 9월 16일
판매가격 0원 30,000원
이 분류에 등록된 다른 상품이 없습니다.

상품 정보

수액·전해질을 잘 모르겠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라면, 전문적인 서적에서 다루는 내용에 예외적인 사항이나 희귀한 것들이 너무 많아서 머리가 혼란스러 울 것입니다.

초보자나 수액·전해질에 서툴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은 먼저 (어느 정도 예외는 버리고) 원리원칙을 철저하게 파고드는 것이 최우선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도 원리원칙에 모순되는 예외나 희귀한 사항은 줄이고 분명한 서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학술서적으로서는 올바르 지 않을 지도 모르지만,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수액·전해질 교과서는 갑작스럽게 생리학이 많이 나온 후에 야, 임상에 사용할 수 있는 전해질 이상에 대한 해설이 시작됩니다.

지금 당장 임상에 필요한 지식을 추구하는 사람은 상당히 멀리 돌아가야 합니다.

학문적으 로는 생리 병태생리 치료로 진행하는 것이 좋겠지만, 본서에서는 가능한 한 전해질 이상증의 증례를 바탕으로 생각하면서, 필요에 따라 생리학으로 되돌 아 가는 구성을 취하였습니다.

수액과 전해질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벡터의 방향이 틀리지 않도록 주 의하되, 벡터의 크기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몸에는 항상성 유 지 기구가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의 방향성(예를 들면, 여기서 Na를 보충해야 하는가, 제한해야 하는가)이 틀리지 않으면 큰 실패는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g 넣는가는 그 다음 단계입니다. 여러가지 추산식이 있습니다만, 어차피 추산식 이기 때문에, 그것에 너무 집착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방향만 틀리 지 않는다면, 매일매일 상황판단을 하고 (데이터나 신체소견을 보고), 조금 부족 하다, 조금 많다 하는 평가를 해서, 수정해 나가는 게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이이 책은 치료의 방향성만은 절대 틀리지 말자는 부분에 힘을 주었습니다

Theme 01 Na와 수분 대사 이상


1강 저Na혈증의 접근

1-1 Na혈증의 접근

1-2 세포외액량의 추정

 

2강 저Na혈증의 치료

2-1 Na혈증의 증상

2-2 Na혈증의 치료

2-3 체액량 감소형 저Na혈증에 대한 접근

 

3SIADH

3-1 SIADH

3-2 ADH의 작용 메커니즘

3-3 혈장 삼투압의 조절

3-4 SIADH의 원인

3-5 SIADH 진단

3-6 SIADH 치료

3-7 바소프레신 수용체 길항제

 

4강 고삼투압성 저Na혈증과 가성 저Na혈증

4-1 고삼투압성 저Na혈증

4-2 가성 저Na혈증

 

5강 저Na혈증 진단의 접근법

5-1 Na혈증 진단의 접근법

5-2 물과 Na의 관계

 

6강 고Na혈증

6-1 Na혈증을 방지하는 메커니즘

6-2 Na혈증의 증상

6-3 Na혈증 진단 접근법

6-4 Na혈증의 치료

 

7강 요붕증

7-1 요붕증이란

7-2 요붕증의 치료

7-3 다뇨 진단의 접근

 

Theme 02 K 이상

1K 대사 이상증의 병태생리

1-1 K의 체내 동역학

1-2 K는 세포내 주요 이온

1-3 K의 조절 메커니즘

1-4 세포 안팎의 K 이동을 조절하는 인자

1-5 신장에서의 K 분비

 

2강 고K혈증

2-1 K혈증의 증상

2-2 K 농도 이상과 심전도 변화

2-3 K혈증 진단의 접근

2-4 K혈증의 응급치료

2-5 K혈증의 만성기 치료

 

3강 저K혈증1

3-1 K혈증의 증상

3-2 K혈증의 진단 접근법

 

4강 저K혈증2

4-1 K혈증 치료

4-2 Bartter 증후군 / Gitelman 증후군

 

5강 세뇨관 K 배설 조절의 생리학 (상급편)

5-1 세뇨관에서의 K 배설 제어

5-2 K혈증과 고K혈증이 발생하는 병태를 생각해보자.

 

Theme 03 Ca·P·Mg 이상

1Ca, P 대사의 기본

1-1 Ca 대사

1-2 P 대사

1-3 Ca P를 조절하는 인자


2강 고Ca혈증

2-1 Ca혈증이란

2-2 Ca혈증 진단

2-3 Ca혈증 치료

 

3강 저Ca혈증

3-1 Ca혈증이란

3-2 Ca혈증의 원인 질환

3-3 Ca혈증 진단의 접근법

3-4 Ca혈증의 치료

 

4강 고P혈증

4-1 P혈증이란

4-2 P혈증의 진단

4-3 P혈증의 치료

  

5강 저P혈증

5-1 P혈증이란

5-2 P혈증의 진단

5-3 P혈증의 치료

 

6Mg 대사 이상증

6-1 Mg 대사의 기본

6-2 Mg혈증

6-3 Mg혈증

 

Theme 04 산염기 평형 이상

1강 산염기 평형의 기본

1-1 ()의 생산과 배설

1-2 pH는 폐와 신장에서 결정한다.

1-3 보상 작용

1-4 산혈증, 알칼리혈증과 산증, 알칼리증의 차이

1-5 혈액가스의 단계적인 분석

 

2강 대사성 산증 1

2-1 음이온 갭(Anion gap, AG)

2-2 AG 증가형 대사성 산증

2-3 당뇨병성 케톤산증

 

3강 대사성 산증 2

3-1 젖산 산증

 

4강 대사성 산증 3

4-1 AG가 감소하는 것은

 

5강 대사성 산증 4

5-1 AG 정상 대사성 산증

5-2 소변 음이온 갭(urine anion gap)

 

6강 대사성 산증 5

6-1 신세뇨관 산증(Renal tubular acidosis, RTA)

6-2 만성 신부전에서의 산증

 

7강 대사성 알칼리증

7-1 대사성 알칼리증의 병태생리

7-2 대사성 알칼리증의 진단

7-3 대사성 알칼리증의 치료

 

제8강 혼합 산염기평형 이상 1

  

제9강 혼합 산염기평형 이상 2

9-1 아스피린 중독

9-2 AGHCO3-

 

Theme 05 수액 치료의 기본

1강 수액요법의 기본

1-1 수액은 어렵다?

1-2 2+3의 수액 제제를 암기한다.

 

2강 기본 수액 제제

2-1 수액의 기본은 생리식염수와 5%포도당액

2-2 수액은 어디로 가는가?

 

3강 기타 수액 제제들

3-1 Intro

3-2 혈장 증량제

3-3 세포외액 보충액

3-4 1호액~4호액

3-5 3호액을 왜 유지액이라 할까

 

4강 수액의 양과 속도

4-1 보충 수액

4-2 탈수 시 수액량 기준

4-3 유지 수액

4-4 물과 전해질의 In / Out sheet

4-5 피드백(Feedback)

 

Quick reference

1. Na혈증의 진단 접근

2. Na혈증의 치료

3. Na혈증의 진단 접근

4. 다뇨증 진단의 Approach

5. K혈증 진단의 Approach

6. K혈증의 응급 치료

7. K혈증 진단의 Approach

8. K혈증 진단의 Approach

9. Ca혈증 진단의 Approach

10. P혈증 진단의 Approach

11. P혈증 진단의 Approach

12. 혈액가스 분석의 단계적 접근

13. 기본적인 수액제제의 조성을 암기할 것

장  재  희

내과 전문의

전 상계 백병원 내과 중환자실 촉탁의

중양대의료원 교육 협력 현대 병원 중환자의학과장 대한내과학회 입원의학연구회 POCUS 위원

다운로드 가능한 강의자료가 없습니다.

COSTOMER CENTER

월-금 am 9:00 - pm 06:00
점심시간 : am 12:00 - pm 01:00

FAQ 1:1 문의

공지사항

COMPANY INFO

회사명. 메디컬팩토리 주소. 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250 대림쇼핑타운 208호
사업자 등록번호. 470-90-01795 대표. 조은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조은
팩스. 02-6305-0314 전화. 02-6091-7584 이메일. medicalfactory@naver.com
Copyright © 2022 메디컬팩토리. All Rights Reserved.